중국 귀주 2010 여행

13. 중국 혁명사에 한 장면을 남긴 려평(黎平) 고성 2

정안군 2010. 9. 2. 12:07

호텔에 들어와서 몸을 좀 식히고 같이 나가서 점심을 먹는다.

 

어제 갔던 집에 다시 가니 돌아가신 외할머니가 살아 돌아온 것 만큼이나 반가워 한다.

 

채소가 보관된 냉장고를 열어보고 이것 저것 골라 시켜도 그저 사람 좋은 모습으로 싱글벙글.

 

꽤 이름을 날린 동네인데 사람들은 참 순박하다.

 

호텔에 집사람을 남겨놓고 다시 회의 기념관을 향해 간다.

 

오전에 잠시 들렸지만 집사람 눈치 때문에 제대로 보질 못해서.

 

다시 봐도 기념관은 건물은 거창하지만 내용물은 상당히 빈약하다.

 

하긴 당시 도바리 신세인 그들이 무슨 자료를 잘 챙겼을 리도 없고 하니 그 당시 정신을 다시 한 번 기리자 하는 것 말고 뭐가 있으랴.

 

그래도 찬찬히 읽어나가니 그 당시의 상황이 좀 더 눈에 들어온다.

 

복음관이라는 장소도 확인해 보니 그 안 예배 처소가 준비가 되어 있다.

 

이 건물의 오른쪽 방이 예배 처소이다.

 

 

유리에 밖의 모습이 나오는데 잘 보면 안의 모습이.

 

십자가와 기독교의상징 같은 愛 자가 보인다.

 

 

오늘이 일요일인데 예배드린 흔적이 없으니 그저 박물관이 된 것인가?

 

복음관 건물에서는 통로로 회의 기념관과 연결된다.

 

 

 

아침에 여유가 없어서 머무르지 못했던 정원에서 잠시 쉬며 이런 공간을 혼자만 누리려 했던 그 당시 지주들의 모습을 그려본다.

 

복음관 건물은 박고와 이덕이 머물렀던 모양이다.

 

 

 

왜 이렇게 높은 벽이 필요했을까?

 

마치 요새와 같다.

 

일단 안에 들어와도 다른 건물로 들어가기가 무척이나 힘든.

 

이런 문들을 지나야 다른 건물로 연결된다.

 

 

  

등영초가 잠을 잤다는 침실이다.

 

중국 민중의 어머니라는 등영초는 모택동의 처 강청과는 달리 조용한 품성으로 양자로 받아들인 혁명동지의 자녀들을 잘 키워냈다고 평판이 좋다.

 

등영초와 같은 그런 그 당시 인테리 여성들이 공산당 강령에 끌려 정강산 쪽으로 많이 왔는데 여자가 많이 필요했던 간부진들이 이들을 아내로 맞이 한다.

 

등영초도 그 중 한사람인데.

 

이들은 남자들도 힘든 장정은 무사히 마친다.

 

물론 그 과정이 만만하지 않아서 등영초는 자녀를 남기지 못했다.

 

모택동 아내조차 장정 도충 몇 명의 아이를 출산하지만 그 아이를 돌 볼 여력이 없어 동네 사람에게 돈 얼마와 함께 키워달려고 맡겼다고.

 

그 중 한 명은 나중에 사망했다는 이야기만 듣고 나머지는 그곳이 어디인지 누구인지를 알 수가 없어서 그냥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단다.

 

처음 아내에게 얻은 아들도 한 명은 처형 당하고 또 하나 모안영은 육이오에 참전했다가 미군의 폭격으로 폭사.

 

현재는 딸 한 명만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안다.

 

이들의 장정은 우리가 상상하기 힘든 어려운 과정이었던 것.

 

 

 

 

여기는 회의실이고.

 

 

회의실 안이다.

 

지금은 굉장히 허술해 보이지만 잘 보면 의자를 조각한 모습이 꽤 공이 들어간 것 같다.

 

  

그곳을 나와서 현대식 기념관에도 다시 가본다.

 

상강 전투 후 서열표가 있다.

 

여기에 모택동의 이름은 아무리 찾아도 없더라는 거.

 

모택동은 그 유명한 준의에서 그 존재를 과시한다.

 

 

장정은 한 부대가 그냥 단순히 이동한 것이 아니다.

 

이 많은 부대가 통신 장비도 열악한 환경에서 어떻게 온갖 장애물을 격파하며 이동할 수 있었을까?

 

 

검은 색은 장개석 진영이다.

 

때로는 이 진영의 틈으로, 때로는 이들을 격파하며 이동했다.

 

 

 

장개석의 군의 저항과 추격을 뿌리치고 탈출에 성공하는 홍군.

 

대단하다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야말로 신출괴몰, 성동격서이다.

 

 

그런데 벽에 모택동이 머물던 집 사진이 있었다.

 

 

아무래도 거리 구경할 때 빠뜨린 것 같아 군인처럼 보이는 경비에게 물어서 찾아 가보니.

 

이런 집이 나온다.

 

 

좁은 문을 들어가면 이렇게 건물이 나오고 또 안으로 다른 건물.

 

복잡한 구조이다.

 

거의 대부분이 여성 간부들이 묵었던 숙소이다.

 

 

옆 가게 주인에게 모택동이 머물렀던 집을 물어보니 맞다고 하는데.

 

앞에는 그냥 간부들의 휴식처라고 쓰여있다.

 

뭔가 이상하지만 사실 그 당시 모택동은 중요한 위치에 있던 인물이 아니니 특별히 방이 배정되는 않았을 테고.

 

그냥 단체로 여기서 묵었는가 하다가도 사진과 집이 다르니 영 이상하다.

 

아무리 찾아봐도 모택동이 머물렀다는 방은 없다.

 

그래서 혹시나 하고 다시 돌아 와 다른 경비에게 물어보니 개방을 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 같은데 아무튼 사진 상의 건물은 확인하지 못했다.

 

遵義 회의에서도 룸메이트였다고 나오는 張聞天과 王稼祥 등과 함께 묵었다는 집인데 말이 짧아 더 이상 확인은 불가.

 

모택동은 그들과 꽤 친했나 보다.

 

王稼祥은 그 당시 부주석일 정도로 서열이 높지만 모택동은 그렇지가 못했었다.

 

하기는 당내 서열이나 공산당 입당 서열이 한참 위인 주은래는 모택동이 탁월한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을 보고 준의 회의 이후 조용히 2인자로 물러나는 것을 보면 그 당시 공산당원들 사이의 분위기가 어떠했는지 잘 알 수 있다. 

 

이것으로 공산당 성지 순례는 마치는 것으로.

 

이제는 오전에 가지 않았던 골목 순례로.

 

이번은 큰 우물 거리 大井街.

 

 

이런 연못이 나온다.

 

이게 큰 우물인가 했더니.

 

 

이 놈이었다.

 

말 그대로 큰 우물이 있어서 아직도 아줌마들의 일터가 되고 있었다는.

 

이 동네 정말 마음에 든다.

 

볼 거리도 있고 공부 거리도 있고 싸고 또 동네 크기도 왠만하고.

 

그런데 왜 여행기에는 그냥 모두 스쳐 지나갔을까?

 

 

이런 보호를 받는 건물도 있는데 그 이유는 모르겠다.

 

 

 이 동네 간판에는 이런 체로 글씨가 쓰여 있는데 한자 옆은 동족 발음이 아닌가 싶다.

 

동족은 말은 있지만 글자가 없는 민족이니.

 

허나 그냥 폼인 듯.

 

이런 동족 말이 얼마나 가겠어.

 

광동어도 없앨라고 마음을 먹은 모양이더만.

 

 

이발소의 고전이 여기 있었다.

 

오전에 본 이발소보다 한 세기는 더 앞 설 듯. ㅎㅎ

 

 

오전에 이른바 공산당 성지 참배를 마치고 호텔로 돌아오니 집사람에게 조금 미안한 마음이.

 

해서 인터넷에서 소개된 南泉山에 가 보기로.

 

집사람과 동행하여 택시를 탔는데 고성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돌아 고개를 넘어가니 신도심인 모양이다.

 

그곳에서 왼쪽 다시 오른쪽 생각보다 멀리 가는데 나지막한 산이 보이고 중턱에 위령비 비슷한 것이 서 있다.

 

바로 여기란다.

 

 

국가급 열사릉으로 승격 되었다는 것을 축하한다는 걸개가 걸려 있지만 그거야 당사자들 이야기이고 우리처럼 나그네에게는 별 신통한 것이 못 된다는.

 

광장 오른쪽에는 侗族 상징 건축물들이 조성되어 있는데 어째 좀 엉성하다.

 

 

실제 가서 보니 건축물은 짓고 나서 관리를 전혀 안 했는지 기와는 깨지고 바닥은 온통 쓰레기 천지.

 

아마도 이 동네 비행기를 타는 청소년들의 놀이터인 듯.

 

날은 뜨겁고 좀 허망하다.

 

당최 여기를 왜 왔을까 하는 생각이.

 

시간이 남아도 여긴 와서는 안 되는 곳이다.

 

차라리 그냥 주변 모습이 평화스럽고 좋더라는.

 

  

다시 시내로 돌아와 아까 신도시를 조성하는 곳에 슬슬 걸어서 가본다.

 

侗族 건축물이 거대하게 세워지고 있었는데 그 아래쪽은 대형 쇼핑몰이다.

 

 

좀 어린 애들하고 젊은 층들이 많이 올 듯.

 

호텔도 하나 있고.

 

하지만 우리나라 관광객들에게는 구경거리가 전혀 안 되겠더라고.

 

이 동네는 고성 구경이 제일이다.

 

구석구석 사람 사는 모습을 살펴보는 재미나 느끼는 것이 이 동네 관광의 핵심이다.

 

侗族이 사는 동네라고는 하나 侗族이 누군지 이런 도시에서야 아무런 의미도 없다.

 

다만 시골 동네나 가야 집성촌 개념이 좀 있을 뿐.

 

그것도 없어질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

 

우리나라 농촌처럼 아무런 희망이 없는 곳에서 어떤 젊은이가 그곳에 남아 있겠는가.

 

그래도 남아 있는 동네는 관광자원으로 변신하여 성공한 것일 뿐.

 

운남성 麗江이 그렇고 귀주성 西江이 그러하듯.

 

10년 전 그래도 장터에 가면 소수민족들이 자기네 고유 의상을 입고 장을 보러 나오던 모습이 종종 눈에 뜨였는데 그것은 그냥 옛날이야기가 되어 버린 듯하다.

 

아!!! 세월이여~~~

 

저녁은 좀 비싼 식사가 되었다.

 

쇠고기에 채소를 넣고 익히는 것인데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내놓으면 망하는 것은 순식간일 것이다.

 

그렇다고 가격이 싼 것도 아닌데 먹으러 오는 사람은 무지 많다.

 

이 가게 주인은 아빠도 뚱뚱보, 엄마도 뚱뚱보 그리고 딸도 뚱뚱보 모처럼 보는 비만 패밀리인데 돈을 잘 벌겠다.